본문 바로가기

관심 분야/추천 / 도전 / 호기심

[산업은행] 재테크 시작은 KDB 산업은행에서...

  현재 주거래은행으로 사용하고 있는 산업은행을 소개할까 합니다. 한국은행 기준으로 금리는 계속 동결 또는 내려가기만 하는데...쩝...

  올해부터 산업은행이 통합산업은행으로 공식 출범하였고, 그 과정에 여러가지 논란이 많은데... 타은행이 우대금리 등으로 조건을 내거는 것과 달리... 산업은행은 특별한 조건을 두지 않아서, 괜찮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산업은행은 지점이 적기 때문에... 직접 직원이 찾아가는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계좌를 개설하면 산업은행외에도 우체국, 우리은행에서도 창구 업무를 하기 때문에 좀 더 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KDB Hi 입출금 통장 ( KDB Direct / HiAccount )

  산업은행의 온라인 입출금 통장인데... 증권사의 CMA만큼은 아니지만, 특별한 조건없이 하루만 맡겨도 1.85 %의 금리를 제공하는 은행 계좌입니다. 하지만 모든 은행 (CD/ATM) 출금, 이체 시 수수료 면제 혜택이 있다는 점에서는 큰 메리트이기도 하죠.

  은행창구에서 오프라인으로 만드는 방법도 있는데.. 이건 1.75 %입니다. 단 이것은 통장도 제공되기 때문에, 조금 더 편할 수도 있어요.

 

2. KDB Direct 재형 저축

  유일하게 4%금리를 지키고 있는 재형저축... 장인들은 대기업 연봉 빵빵한 사람 아니고서야 대부분 가입이 가능합니다. 올해말까지 가입 가능한 통장이기도 합니다.

  산업은행 재형저축은 창구 가입시 기본이율 4.4%에 추가 조건으로 급여이체 시 0.1% 제공으로 총 4.5% 이며, 온라인 가입시에는 0.1% 추가해서 4.6% 까지 가능합니다. 급여이체라고 해도 회사에서 돈이 들어오는게 아닌... 타 은행계좌에서 산업은행 통장으로 50만원이상 이체하면 0.1% 가산금리를 주는 조건이라서, 타 은행처럼 이런저런 조건은 없다고 봐도 됩니다.

  보통 재형저축은 3년간 고정금리... 그 이후는 변동금리를 적용합니다. 따라서 지금 같은 저금리에 3년 이후에는 금리가 확 줄어 들 수도 있죠. 이것 때문에 7년 고정형 재형저축도 나왔지만... 이 저축의 금리는 3.0 ~ 3.3 % 사이로 높은 편이 아닙니다.

  하지만 산업은행의 재형저축은 4년간 고정금리를 적용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물론 5년차에 들어가면 변동금리가 적용되겠지만... 입출금도 좋은 조건이라서...^^... 이런 점에서 산업은행이 가장 메리트가 있어 보입니다.

 

3. 산업은행 체크카드

  체크카드로도 추천하는 산업은행. 체크카드는 신용카드랑 비교할 때 많은 혜택을 가지고 있지 않은데... 산업은행 체크카드는 그 중에서 최상급 혜택을 갖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쉬운 건 국내전용이라는 점과 교통카드기능이 없다는 점...

  먼저 기본적으로 모든 음식점 점심/저녁 할인이 눈에 띄며, 자주 애용하는 GS25 편의점 할인도 마음에 듭니다. 할인점, 온라인 쇼핑몰도 그렇고요..^^..

  거의 모든 카드가 비슷하겠지만... 이것도 월 30만원은 사용해야 할인 혜택이 주어집니다. 그리고 50만원 이상 사용하게 되면, 보너스 커피할인도 주어집니다. (4000원 - 스타벅스랑 카페베네에서 사용가능)

  카드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ATM 수수료 면제 혜택이 있고, 사용이 좀 있으면, 신용카드 만큼은 아니지만,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카드라고도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인터넷뱅킹 개설 시 제공해주는 OTP카드(one time password)는 타은행에서 인터넷 뱅킹 개설 시 제공해주는 보안카드의 경우에는 번호가 정해져 있던 것에 비해, OTP카드는 버튼을 누를 때마다 새로운 비밀번호가 생성되는 방식이라 좀 더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