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깃거리/전기 / 전자 공학

3상 교류(3 phase Alternate Current)의 생성

3상 교류(3 phase Alternate Current)의 생성

[그림 1-123] 위상차 120°인 3상 교류의 생성

[그림 1-123] 위상차 120°인 3상 교류의 생성

그림 1-123과 같이 권수가 같은 3개의 코일 u, v, w를 120° 간격을 두고 철심에 감는다. 그리고 회전자석으로는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코일에 0점이 중심에 위치한 직류전압계를 연결하고 자석 NS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킨다.

【결과1】 자석 NS가 1회전하는 동안에 3개의 전압계의 지침은 코일의 순서에 따라 차례로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한 번씩 움직였다가 다시 원점으로 복귀하게 된다.

자극(또는 자석)이 회전할 때, 각 코일에는 그림 1-124와 같은 사인파 교류가 발생된다. 그리고 이들 3코일에 유도된 교류전압은 주파수가 같고 또 크기도 같다.(코일의 권수가 같을 경우). 다만 시간적으로 서로 120°의 위상차 또는 주기를 두고 연속적으로 발생된다. 즉, 코일의 공간적 위치 차이가 전압의 시간적 위상차로 변환되었다.

이와 같이 120°의 위상차를 두고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교류를 3상 교류라 한다. 이에 대해 처음부터 하나 또는 3상 교류 중의 1상을 별도로 사용하는 경우를 단상교류라 한다. 그리고 3개의 코일 각각에 유도된 전압을 상 전압(phase voltage)이라 한다.

[그림 1-124] 3상 교류전압의 위상차

[그림 1-124] 3상 교류전압의 위상차

(2) 3상 코일의 결선방법

3 코일의 결선 방법에는 스타(star) 결선법과 델타(delta) 결선법이 있다.

① 스타 결선(star connection Sternschaltung) - 표시기호 Y

[그림 1-125] 스타(star) 결선

[그림 1-125] 스타(star) 결선

이 방법은 그림 1-125와 같이 각 코일의 한 끝 U2, V2, W2를 한데 묶어 이를 중성점(또는 공통점)으로 하고, 나머지 한 끝 U1, V1, W1로부터 각각 1개씩의 선을 끌어내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Y결선이라고도 한다.

(참고) 중성점에서 1개의 선을 별도로 끌어내 4선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U1, V1, W1과 중성점(N) 사이의 전압을 상 전압(phase voltage ; UP)이라 하고 U1 ↔ V1, V1 ↔ W1, W1 ↔ U1 사이의 전압을 선간전압(line-to-line voltage ; UL)이라 한다.

[그림 1-126] 스타 결선 시의 위상도

(a) 전류 위상도

(a) 전류 위상도

(b) 전압 위상도

(b) 전압 위상도

3상 스타 결선에서는 그림 1-126(a)와 같이 상전류(phase current : IP)와 선 전류(line current : IL)는 서로 같다.

그리고 선간전압(UL : U12, U23, U31)과 상전압(UP : U1N, U2N, U3N) 사이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그림 1-126(b) 전압 위상도 참조].

여기서 을 결선계수(connection factor)라 한다. 그리고 전력은 각 상전력의 합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스타결선의 전력(유효전력) P는 상전력의 3배이다.

② 델타 결선(delta connection : Dreieckschaltung) - 표시기호 Δ

[그림 1-127] 델타 결선(Δ 결선)

[그림 1-127] 델타 결선(Δ 결선)

이 방식은 그림 1-127과 같이 각 코일의 끝을 차례로 연결하고, 각 코일의 연결점에서 한 선씩 끌어낸 방식이다.

델타(Δ)결선에서는 상전압(UP)과 선간전압(UL)이 서로 같다. 그러나 선전류(IL)는 2개의 상전류(IP)로부터 구한다. 전류 위상도[그림 1-128]를 이용하여 기하학적으로 구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1-128] 델타(Δ)결선 위상도

(a) 전압 위상도

(a) 전압 위상도

(b) 전류 위상도

(b) 전류 위상도

(c) 상전류와 선전류

(c) 상전류와 선전류

그리고 전력(유효전력) P는 상전력의 3배가 된다.

이와 같이 3상 전력은 결선방법에 관계없이 서로 같다. 따라서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전압은 스타(Y)결선이, 전류는 델타(Δ)결선이 각각 배 크다.

자동차용 3상 교류발전기는 선간전압이 높은 스타(Y)결선을 주로 사용한다. 이는 저속, 특히 공전속도에서도 충전이 가능한 전압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출처 : 3상 교류발전기 [3-phase AC-generator, Drehstromgenerator] (최신자동차공학시리즈 3 - 첨단자동차전기전자, 2012.9.5, 도서출판 골든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