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마트폰은 다름아닌 방수 기능을 갖고 출시를 합니다. 대표적으로 삼성 갤럭시 기어 시리즈나 갤럭시 S4 액티브 S5등이 있고, 소니의 엑스페리아 Z 시리즈가 있습니다. 그 방수 등급을 IP 등급이라고도 하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IP등급은 방수, 방진의 보호 등급으로서 사물에 물기의 침투에 따라서, 얼마나 안전한지에 대한 보호기준을 규정(IEC 529규정)하는 기준입니다.
보호 등급은 두자리 수의 코드로 되어있으며, 각 자리수마다 보호를 규정한 부분이 다릅니다.
첫째 자리수 - 먼지로 부터의 보호정도
둘째 자리수 - 물로 부터의 보호정도
각 숫자는 숫자가 높을 수록 (먼지나 물로부터) 안전함을 의미합니다.
EX 1) 엑스페리아 Z2는 IP58 등급인데, IP뒤에 있는 '5'은 먼지로부터의 보호하는 등급이고, '8'은 액체로부터 보호하는 등급이라는 뜻입니다.
EX 2) 갤럭시 S5는 IP67 등급인데, IP뒤에 있는 '6'은 먼지로부터의 보호하는 등급이고, '7'은 액체로부터 보호하는 등급이라는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방수지수는 4등급이 넘어갈 시엔 '생활방수'라고 하며,
7등급 이상일 경우에는 '완전방수'라고 합니다.
각 등급의 숫자에 따른 등급지수는 아래의 이미지를 확인해주세요.
'이야깃거리 > 전기 / 전자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스플레이] AMOLED와 IPS 디스플레이를 비교. (0) | 2014.10.12 |
---|---|
[디스플레이] CRT, LCD, LED, PDP 의 비교. (0) | 2014.09.29 |
전력 공급 - 220V과 380V의 장단점. (0) | 2014.09.08 |
3상 교류(3 phase Alternate Current)의 생성 (0) | 2014.09.08 |
중성선(中性線)과 접지선(接地線)의 차이. (0) | 2014.09.08 |